MEMS & Nano-devices
뉴로모픽 반도체 연구실
-
- 지도교수
-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김상범 교수
- 이메일
- sangbum.kim@snu.ac.kr
- 홈페이지 주소
- http://neuromorphic.snu.ac.kr
- 전화번호
- 02)880-7359
본 연구실에서는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새로운 재료와 소자들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연산에 최적화된 뉴로모픽 컴퓨팅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한다.
(1)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재료 및 소자에 대한 연구
(2) 시냅스 소자와 뉴론 소자의 효율적인 구성에 대한 연구
(3) 기존의 인공신경망뿐만 아니라 spiking 신경망에 기반을 둔 뉴로모픽 컴퓨팅에 적합한 알고리즘 연구 -
[그림]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을 위해 재료, 소자, 회로, 아키텍쳐, 알고리즘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다학제 연구 수행
나노구조 & 나노전자 연구실
-
- 지도교수
-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
- 이메일
- hwjang@snu.ac.kr
- 홈페이지 주소
- https://sites.google.com/view/onnl
- 전화번호
- 02)880-1720
본 연구실에서는 나노구조 재료를 비롯하여 전자재료 특성을 기반으로 고성능 나노 전자 소자(Artificial synapses, Micro/Nanorod LED, 메모리, 트랜지스터 등)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최근에는 인공 시냅스를 나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였고, 학습을 통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지능적 판단을 확인하였다. 고성능 차세대 디스플레이 Micro/Nanorod LED 소자를 제작하고 있으며, 소자 제작 외에도 재료의 구조 성장 기술을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 또한, Halide perovskite 재료를 기반으로 한 비휘발성/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와 반도체 재료 및 강유전체 재료를 활용하여 고성능 트랜지스터 제작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
-
[그림] 주 연구분야
양자정보 및 양자컴퓨팅 연구실
-
- 지도교수
-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김태현 교수
- 이메일
- taehyun@snu.ac.kr
- 홈페이지 주소
- https://quiqcl.snu.ac.kr
- 전화번호
- 02)880-1725
본 연구실에서는 이온 트랩 양자컴퓨터 구동을 위한 칩 모양 포획 트랩 MEMS 설계 및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. MEMS 규모의 다층 배선 공정을 연구하여 이온 트랩 칩 공정에 적용할 계획 중에 있다. 또한 양자컴퓨터 연산 처리를 위한 광섬유 공동 시스템의 MEMS 구현을 위한 구동기 등을 연구하고 있다.
-
[그림] (a) 공정 진행 중인 이온트랩 칩 패키지 (b) 광섬유 공동 시스템